2020 하반기 서울주택도시공사 전자(정보통신)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글의 목적
공기업 통신직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공부를 시작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수험자를 위해 글을 씁니다.
제 글은 기출 유형을 과목 별로 분석하여 향후 어떠한 과목을 어떠한 난이도로 공부해야 하는지 제시합니다.
공기업 통신직에 대한 진입장벽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마음은 독하게 먹었는데 어떻게 시작을 해야 할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공부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여러분 진짜 공부를 시작하세요.
2020 SH공사 기출 분석
SH 공사의 경우 아마 아시는 통신 직렬 분들은 거의 없으실 겁니다.
취업 면에서는 블루 오션이라고 보지만 개인적으로는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
여기는 전기직렬에 포함된 정보통신 직렬인데 그렇게 되면 취업하고 나서가 문제입니다.
하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일이기에 너무 걱정은 안 하셔도 되고 본인 소신껏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제 역할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SH 공부 방법입니다.
아마 통신의 짬뽕의 극대화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SH 공사나 서시고 등의 서울지방공사의 경우 이렇게 모든 과목을 섞은 내용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저같이 이것저것 전공을 하는 사람한테는 유리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전공자들은 아마 모르기에 못 푸는 경우가 생길 것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신다면 저희 정보통신공학과 자체가 짬뽕입니다.
그렇기에 모든 과목을 배운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공부를 하신다면 전반적인 통신을 기반으로 대부분의 전공 필수 과목을 이해하고 계셔야 합니다.
그리고 난이도도 생각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경쟁률 면에서는 다른 곳에 비해 적기에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거의 모든 과목이 있습니다.
크게 회로이론, 전자회로, 전기자기학, 전산학, 통신공학이 있습니다.
공부는 회로이론 -> 전자회로 -> 통신공학 & 전기자기학 -> 전산학 순으로 공부를 하시면 좋습니다.
회로이론과 전자회로는 먼저 이해도가 요구되는 과목이고, 회로이론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통신공학은 통신공학에서 필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이해가 요구되는 내용을 먼저 공부하시고 암기해야 할 네트워크 같은 과목은 나중에 전산학과 같이 공부하시면 좋습니다.
전기자기학의 경우 응용 암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암기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회로이론과 같이 공부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회로이론의 문제는 간단합니다.
키르히호프 정의와 테브난, 평균치 전압과 파형 비교, 회로 비교입니다.
회로 해석의 경우 기본적인 문제가 나왔고 테브난이나 노턴은 기본 소양인데 은근히 자주 나옵니다.
파형과 진폭 같은 경우 회로이론에서 암기를 해도 될 정도로 자주 나오는 모양입니다.
그렇기에 회로이론은 기본적인 공부만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보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한 단계 더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여기 SH공사만 보는 것이 아니고 다른 전자통신도 보시기에 4단 자망, 결선 같은 문제도 다 푸실 줄 아셔야 합니다.
전기자기학을 먼저 보겠습니다.
벡터 내적, 전하밀도, 도전율, Rc, RLC 관련 등.
전기자기학도 어려운 문제는 아닙니다.
벡터 내적은 아마 전기자기학에서 배우셨을 수도 있는데 다른 곳에서 배웠을 확률이 더 높습니다.
전하밀도와 도전율 같은 문제는 전기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로 푸셔도 좋습니다.
아니면 동일 낱권의 전기자기학만 가져가셔도 이 문제들은 충분하실 거라 생각됩니다.
일단 회로이론과 전기자기학의 난이도는 낮습니다.
하지만 내가 전공 공부를 했으나 기억이 잘 안나 시는 통신직렬 분들은 그냥 이름만 알고 정작 문제를 못 푸실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두 과목은 꼭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공부할수록 어려워지는 과목이나 이 두 과목은 언젠가 여러분에게 날개를 달아줄 것입니다.
업무를 수행할 때도 그렇고 전자 쪽 일을 하시면 회로에 대한 지식 전기 쪽 일을 하시면 자기학 쪽 지식을 가지고 가실 겁니다.
통신이라고 해서 무조건 통신 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통신의 기반이 되는 이 두 과목에 대한 강조는 아마 저는 계속해서 할거 같습니다.
전공 공부 방법 글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SH 공사에서 이 두 과목은 할만한 편이지만 저는 전자회로를 보고 조금 놀랐습니다.
문제가 정보통신 1과목에서 아주 자주 보던 문제들이 나왔습니다.
사실 이 정보통신기사 1과목은 다른 공기업 시험에서 도움이 된 것을 거의 본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SH 공사는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Vcc, Vbc 주고 Id, Ib 구하기 같은 문제입니다.
이거 실제로 해보신 분 많지 않으실 수도 있습니다.
그냥 버려도 기사 취득하는데 어려움이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H 공사를 준비하시면 이거 해석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비반전 회로 같은 문제는 다른 회사에서도 자주 나오고, 다이오드 출력 파형, 다이오드 VI 구하기 이런 문제들은 간단합니다.
그리고 제일 어려울만한 문제가 전자회로 ID(sat) 상태에서의 정의
이건대 저도 하도 오래돼서 잊고 살았는데 이 문제가 나왔습니다.
전공 수준의 문제입니다.
전자회로 1 인지 전자회로 2에서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 나는데 이 정도 수준의 문제까지 나오는 전자회로입니다.
그렇기에 정보통신기사 1과목의 전자회로를 절대 암기하지 마시고 전부다 해석해서 푸시는 공부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숫자도 다르게 하고 회로도 조금 꼬아서 공부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전산학 관련입니다.
중위 순위나 주기억장치 정의, 계층형 모델, 2진수 변환 이 문제들 그냥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공학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문제도 조금 올드한 느낌으로 구처기로 푸셔도 충분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전자통신을 하신 분들은 생소할 수도 있을 겁니다.
간단한 문제인데 중위 순위 같은 거는 아마 보셨을 수도 있습니다.
한 번만 해보면 됩니다.
주기억장치 같은 컴퓨터 구조 (OS 포함) 이 문제들은 전자계산기 구조에서도 조금 겹치는 문제가 있습니다.
전자통신이시라면 과감히 전산학은 PASS 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통신 관련 문제입니다.
그래도 통신이 주력입니다.
위의 표에서 정리한 대로 거의 반 정도 문제가 나옵니다.
그래서 이 SH 공사 전자(정보통신) 직렬은 통신직에서 다른 전산이나 전자를 공부하신 분들에게 조금 유리한 시험입니다.
취업이 정말 급하고 난 가서 이 리치이고 저리 치여도 상관없다 하시면 이 SH 공사 서류만 통과하시면 정말 괜찮습니다.
문제는 짬뽕입니다.
그 전에도 짬뽕이었는데 통신에서도 짬뽕입니다.
통신이 하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제 전공 공부방법에서 보시면 정말 과목별로 많습니다.
조금 깊은 부분이기에 일단 패스하겠습니다.
ATM 정의 같은 문제는 기사 실기에서 많이 보셨을 겁니다.
정보통신기사 실기 문제가 많이 나오기에 A/D 변복조와 네트워크는 필수입니다.
그리고 전파와 전자계측기, 위성 안테나, 구스 헨 첸, WAN 이런 문제들은 무선 쪽입니다.
특히 무선에서도 이동통신, 위성통신, 안테나 공학이 다 섞여 있습니다.
이 문제를 다 맞기는 힘들 거 같지만 난이도는 상당히 쉬운 문제들입니다.
무선설비기사를 회독하는데 안테나 공학은 선택입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관련된 문제들이 많이 보입니다.
네트워크가 조금 까다로운 문제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층별 포트번호와 구조번호 같은 것을 물어봅니다.
난이도가 조금 높지만 다른 문제는 쉽습니다.
즉, 네트워크는 하나 어려우면 나머지 3개는 쉽다 이 정도입니다.
난이도 조절을 못한 전형적인 예인데 통신이 원래 그렇습니다.
그리고 광통신 문제가 많이 나왔습니다.
저도 이걸 정리하고 나서 느낀 것인데 광통신에 대한 중요도가 점점 올라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정보통신기사 실기 + 통신 이론 뒤편에 있는 내용으로 다 풀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광 시스템 관련 snnp 속도까지 물어보는 문제가 있고, FHHO 광 가입자망 이거 아실 겁니다.
이거는 쉬운데 앞에 문제가 어렵습니다.
그리고 광 시스템 정의 같은 문제인데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역시 A/D 변복조입니다.
생각보다 계산 문제가 많이 나옵니다.
계산이 쉬운 문제들이 대부분이지만 안 해보면 또 어떤 변수가 나올지 모릅니다.
ex) s/n비 구하기/ 보오 구하기/ 위상 속도/ 지연 bit 구하기 등의 문제입니다.
생각보다 많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나머지 문제는 통신 이론으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
sh공사 결론입니다.
그냥 정보통신공학 전공과목을 공부하시는 지금처럼 대부분 하시면 됩니다.
지금 잘하고 계시고 지금 처럼 하시면 더욱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시험 유형입니다.
통신이 주력이지만 그래도 회로이론과 전지 자기학은 가져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회사에 한정해서 공부를 하신다면 저는 전자통신 직렬입니다.
전자통신을 공부하시는데 내가 통신이 주력이다 하시면 전산학을 버리고 이 시험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른 직렬의 경우 통신을 잘하시면 나머지 부분을 약간 겉핥기 식으로 넓게 공부하셔도 몇 문제는 맞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만큼 난이도가 어렵지는 않고 넓게 공부하신 분들이라면 오히려 땡큐인 시험입니다.
이러한 지방 공사의 경우 어떠한 문제가 출제될지 모릅니다.
제 생각에는 저기 있는 % 다 바뀔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강조드리는 말은 이런 기출 복원 하나하나 찾아보지 마시고 전공 공부부터 하시길 바랍니다.
회로이론과 전기자기학 부터 하시고 학부생 때 안 했으면 안 한 만큼 지금 하시면 됩니다.
학부생 때 1년 어렵게 공부하셨으면 1년 그만큼 지금 채우셔야 하는 것입니다.
공부는 절대량이라 생각합니다.
결국 그 절대량은 개인 차에 따라 채우는 양이 달라지게 됩니다.
정도로 가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드리고 싶은 말은 sh공사의 경우 취업을 결국 하시게 된다면 자신의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시고 취업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공기업 통신직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하반기 인천항만공사 전자통신 분석 및 공부 방법 (0) | 2021.11.27 |
---|---|
2020 하반기 서울교통공사 통신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0) | 2021.11.27 |
2020 하반기 중부발전 ICT(통신한정)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0) | 2021.11.26 |
2020 하반기 한국도로공사 전자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0) | 2021.11.26 |
2020 상반기 한국도로공사 전자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