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 상반기 한전KDN 통신 기출 분석 및 공부 방법

Worker1 2021. 11. 18.
반응형

 

글의 목적

공기업 통신직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공부를 시작을 해야 하는지 모르는 수험자를 위해 글을 씁니다.
제 글은 기출 유형을 과목 별로 분석하여 향후 어떠한 과목을 어떠한 난이도로 공부해야 하는지 제시합니다.
공기업 통신직에 대한 진입장벽은 생각보다 높습니다.
마음은 독하게 먹었는데 어떻게 시작을 해야할지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공부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여러분 진짜 공부를 시작하세요.

 

2020 상반기 한전 KDN 기출 분석

 

한전 KDN의 20년 상반기는 한마디로 네트워크 밭이였습니다.

난이도도 상당히 쉬운 편에 속하며 소프트웨어 공학에 있는 문제는 그냥 성형이어서 신경은 안 쓰셔도 됩니다.

 

네트워크에 관한 문제가 많이 나온다면 여러분이 기사에 있는 네트워크로만 공부하시면 정말 아쉽습니다.

한전 KDN의 경우 네트워크의 시즌이 있으면 A/D 변복조의 시즌이 한번 더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유행이 조금 바뀌게 되는데 한전 KDN은 정보통신기사 위주로 공부를 하시면서 통신이론 책을 곁들이면 정말 좋습니다.

난이도가 그렇게 높은 시험은 아니나 최근에 수험생들의 실력이 상향됨으로 평균이 조금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글을 이어서 21년 상반기글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이야기 부터 먼저 하겠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한 공부는 하나의 책을 더 가지고 계시면 좋습니다.

제가 추천 해드릴 책은 수험생들 사이에서 통칭 햄버거 책이라고 불리는 책입니다.

 

 

이 책을 추천드리며 컴퓨터 네트워크 공부를 하시면 좋습니다.

저는 다른 네트워크 책을 가지고 있는데 대학 전공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이라는 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난이도는 이 책이 더 높지만 공기업 공부용으로 하신 다면 햄버거 책을 추천드립니다.

 

쉽게 쓰였지만 내용이 다 들어가 있기에 기사로 네트워크가 부족하시다면 이 책을 하나 더 보시면 조금 더 시야가 트이실 겁니다.

기사에서 나오는 네트워크는 반복되는 문제가 많으며 조금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쉬운 경향이라는 말은 겉으로만 문제가 나와서 조금 응용된다면 같은 문제여도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전공책을 하나 추천드리고 네트워크 공부를 하실 때 평소보다 조금 더 깊게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서 전송 계층에 TCP를 얘기드리겠습니다.

TCP의 경우 UDP와 비교하는 기본적인 문제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 TCP의 헤더 구조를 보시고 한 단계 더 하신다면 구조상에 있는 각 섹터의 역할을 공부하시고 더 나아가 비트수 랭스까지 아시면 정말 좋습니다.

난이도가 높아져도 아직 여기까지 나올 거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공부를 하시면 조금 더 머릿속에 오래가고 혹시나 조금 더 난이도 있게 나온다면 충분히 나올만합니다.

그래서 전공책이 필요하고 저는 이 책을 추천드리는 겁니다.

 

A/D 변복조에 대해 공부를 하신다면 한전 KDN의 경우 MFSK가 나왔는데 기사 문제에도 있고 많이는 없지만 해설까지 보셨다면 충분히 풀 수 있습니다.

슈퍼 헤테로다인 같은 문제도 나왔는데 정말 단골입니다.

하지만 기사로는 슈퍼 헤테로다인을 다 커버할 수 없습니다.

통신 이론을 공부하시면서 A/D 변복조는 양 교수님의 파란 책이 좋습니다.

거기서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구조까지 공부를 하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특출 나게 어려운 A/D 변복조의 문제는 보이지 않으나 한전 KDN은 똑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내지는 않고,

보기를 역으로 돌려서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보기에 무선랜 IEEE 802.xx 어떤 문제가 나왔으면 다음에는 문제로 나올 확률이 있습니다.

자주 나오는 스타일의 문제인데 그냥 단순히 문제만 푸시지 마시고 보기도 역으로 치고 들어가는 공부를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감초 같이 보안에 대한 문제가 나옵니다.

한전 KDN의 보안 문제는 용어에 대한 문제가 자주 나옵니다.

용어 설명이나 그 용어의 뜻, 뜻을 설명하고 그 용어 찾기 이런 식으로 나오기에 어렵지는 않으나 모르면 모릅니다.

다음 한전 KDN 시험에 저격 용어 집을 한번 만들어서 배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보안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쓰시지 않으셔도 되는 게 문제수가 합격에 영향을 끼 칠정도는 아닙니다.

통신에서 보안의 역할이 크기는 하지만 시험에서 아직까지 크게 느껴지지 않고 있습니다.

차라리 네트워크 기본적인 문제를 더 많이 푸시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면 snmp, 백 본망, 다중접속, 리피터, ARQ, CSMA/CA, 토큰 버스, 클래스 주소, IPv4 v6, OSI7, TCP헤더, http 이거 다 기출입니다.

여러분이 문제는 자주 보셨을 겁니다.

그렇기에 어렵지 않은 다수의 네트워크 문제를 가져가시는 게 기출문제를 보시는 것보다 유리합니다.

 

광통신에 대한 문제가 나왔는데, 광통신 문제는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사 문제에서 광통신에 대한 문제만 찾아내기 어려우실 겁니다.

개념적인 부분도 부족한데 양 교수님 통신 이론의 광통신 부분만 가져가셔도 대부분의 광통신 문제는 푸실 수 있습니다.

단, 국가철도공단처럼 광통신이 과목으로 들어가면 조금 더 깊게 해야 하지만 그건 국철 공 기출 분석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한전 KDN의 광통신 문제는 모드에 관한 문제와 동축케이블, 광섬유, 굴절인데 이건 다 통신 이론 책에 있습니다.

그걸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며 광통신 문제는 보기를 지우면서 시험을 보시면 좋습니다.

모르는 광통신 용어가 나오면 일단 PASS 하시고 아시는 개념부터 푸시길 바랍니다.

 

한전 KDN의 공부 방법은 심플합니다.

정보통신기사 실기 -> 필기 역순으로 공부를 하며 네트워크는 책을 하나 더 가져간다.

그리고 광통신은 아쉬우니 통신이론 책으로 공부를 한다.

신호 및 시스템은 21년 기준으로 문제수가 더욱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아마 시험의 경쟁력을 높이기에 이 과목이 제일 좋은 거라 생각됩니다.

21년 기출 분석에서 설명드리고, 보안 같은 경우 버리셔도 될 거 같습니다.

차라리 네트워크 더 공부하시는 게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한전 KDN의 경우 서류 배수가 조금 빡빡하고, 전공이 조금 할만합니다.

보통 이런 시험은 NCS로 갈리게 됩니다.

하지만 전공이 받쳐 준다면 더욱 든든하기에 전공 공부를 등한시하시지 마시고 조금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