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자통신이란3 전공 3편 - 기사 취득 후 공부 방향 설정 (전자 통신직) 전자통신을 선택하신 분들은 보통 3가지 케이스 나뉩니다. 1. 통신 전공자 -> 전자 공부를 한다. 2. 전자 전공자 -> 통신 공부를 한다. 3. 전기 전공자 -> 통신 전자를 공부한다. 이러한 3가지 케이스가 있는데 보통 1,2번입니다. 저는 1번 위주로 설명을 드릴 예정이고, 저의 글을 많이 보셨다면 하나의 전공을 왜 추가하여 선택하였는가? 그러한 선택을 한 근거와 이유가 다른 여러 글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참고해주시길 바라며, 저는 통신 전공을 하였는데 전산 -> 전자 -> 전기 공부를 하여서 결국 전자 공학이 가장 합격률이 높았습니다. 요즘 트렌드가 잡다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저는 그러한 잡다함을 노리고 공부를 한 것은 아니며 그나마 나에게 조금 잘 맞는 전공을 선택했을 뿐입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공기업 통신 전공 공부 매뉴얼/통신직 전공 공부 방법 2021. 12. 4. 더보기 ›› 4편 - 전자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2) 전자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2) 서울시설공단 - 통신직 전공과목 : 전자공학 개론, 유선공학개론 혼용 먼저 전자공학개론 옆에 유선 공학 개론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게 그냥 정보통신입니다. 무선 공학 개론은 따로 있습니다. 그리고 또 궁금하실만한 게 7급이랑 7급(보) 일 텐데, 원래는 7급(보)이 고졸입니다. 8급인데 그냥 올려준 것이고 호봉은 같이 올라가는데 급수가 조금 늦게 올라갈 것입니다. 하는 일은 거의 똑같습니다. 경쟁률을 보시면 통신이 61 : 1이고 7급 보는 18 : 1입니다. 선택은 본인이 하시고 선택에 도움이 되는 제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간 글은 N사 백 취준 글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가장 최근에 본 게 이 시험인데 7급을 오랜만에 뽑아서 궁금해서 한번 봐봤는데 시험이 조금.. 공기업 통신 전공 공부 매뉴얼/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및 직렬 선택 2021. 11. 28. 더보기 ›› 3편 - 전자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1) 전자 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이제 통신직렬 분들이 코딩이 조금 어렵다 하시면 전자 통신으로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전자과를 졸업하신 분들이 유리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만큼 열심히 공부를 하셨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도 제대로 시작을 하신다면 충분히 경쟁력을 얻으실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착각하시는 분들이 정보통신기사 1과목의 디지털 전자회로로 전자통신직렬을 준비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생각이고 만약 제대로 된 전자통신 시험을 보신다면 정말 힘드실 거라 예상됩니다. 저는 정말 확실하게 말씀드리자면 그걸로 안됩니다. 겨우 그 정도로 해서 이 정도 시험에 통과할 거라는 생각을 하시면 안 됩니다. 기사는 그냥 다 하는 시험입니다. 기사 실기가 어렵고 신.. 공기업 통신 전공 공부 매뉴얼/통신직을 채용하는 공공기관 및 직렬 선택 2021. 11. 28.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