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영상학과와 방송영상학과 차이, 완전 정리

Worker1 2025. 6. 22.
반응형

영화영상학과와 방송영상학과는 이름이 비슷해 혼동되기 쉽지만,
교육 목표, 커리큘럼, 진로 방향이 분명히 다릅니다.
입시를 준비하거나 진학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둘 중 어디를 가야 할까?” 하는 질문은 매우 흔하지만,
이 질문의 핵심은 **내가 어떤 콘텐츠를 만들고 싶은 사람인가?**입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영상학과와 방송영상학과의 차이를
교육과정, 실습 방식, 진로, 포트폴리오 방향성까지 명확하게 비교해드립니다.


1. 핵심 차이 한눈에 보기

구분영화영상학과방송영상학과
교육 초점 예술·창작 중심 실무·정보 전달 중심
주요 콘텐츠 영화, 단편영화, 시나리오 방송, 예능, 뉴스, 다큐
연출 스타일 감독의 예술적 의도 강조 프로그램 기획·편성 중심
수업 중심 시나리오, 촬영미학, 영화비평 방송제작기술, 스튜디오 실습
진출 분야 영화감독, 편집감독, 연출자 PD, 작가, 촬영감독, 방송기술직
 

2. 영화영상학과의 특징

예술적 창작이 핵심

  • 시나리오 창작, 인물의 심리 묘사, 영화적 구성 등
    작가주의, 독립영화적 색채를 중요시하는 수업이 많습니다.
  • 자신만의 세계관을 장면과 미장센으로 표현하는 훈련에 집중합니다.

대표 과목

  • 영화연출, 시나리오 작성법, 영상언어, 영화비평, 단편영화 제작 등

진로 방향

  • 영화감독, 조감독, 연출부, 콘텐츠 기획자, 영상편집자
  • OTT 플랫폼 영상제작자, 영화제작사 기획자, 유튜브 아티스트 등도 포함

3. 방송영상학과의 특징

실시간 전달력과 구성력이 핵심

  • 방송은 ‘정보 전달’과 ‘공공성’이 요구되므로
    스토리텔링보다 연출력, 속도, 팀워크가 강조됩니다.

대표 과목

  • 방송기획, 영상촬영기술, 뉴스제작, 예능구성, 방송미학, 멀티카메라 실습 등

진로 방향

  • 방송PD, 방송작가, 뉴스기자, 편성기획자, 방송기술직(카메라, 음향, 조명)
  • 종편/지상파/케이블 방송사, 유튜브 제작사, 기업 영상팀 등 다양

4. 포트폴리오 차이

항목영화영상학과방송영상학과
핵심 콘텐츠 시나리오, 단편영화, 콘티, 감독노트 뉴스기획안, 방송기획서, 예능 콘셉트
중점 평가 창의성, 주제의식, 미학적 감각 기획력, 전달력, 팀워크
추천 활동 영화제 참여, 단편 제작, 영상 공모전 방송국 인턴, 캠퍼스 방송국 활동, 모의방송 제작
 

5. 어떤 학생에게 어울릴까?

성향추천 전공
“내 생각을 영화로 표현하고 싶다” 영화영상학과
“사람들과 협업하며 방송 콘텐츠 만들고 싶다” 방송영상학과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까지 하고 싶다” 영화영상학과
“현장감 있는 방송 제작을 경험하고 싶다” 방송영상학과
 

마무리 요약

영화영상학과는 창작과 미학 중심의 전공으로,
자신만의 시선과 감정을 이야기로 풀어내는 훈련이 핵심입니다.

반면, 방송영상학과는 정보전달과 기획력을 중심으로 실무에 강한 전공이며,
현장 중심의 기술 습득과 팀워크를 중시합니다.

둘 중 무엇이 더 낫다기보다,
내가 어떤 콘텐츠를 만들고 싶은지,
예술가형인가, 프로듀서형인가에 따라 선택이 갈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