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영상학과 입시준비 핵심 가이드: 실기부터 포트폴리오까지

Worker1 2025. 6. 22.
반응형

영화영상학과 입시, 단순히 성적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특히 실기전형의 비중이 큰 만큼,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죠.

이 글에서는 영화영상학과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실기유형, 포트폴리오 구성, 자기소개서와 면접 포인트까지 전체적인 흐름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영화영상학과 입시 유형의 큰 틀

영화영상학과는 대학별로 입시 방식이 다르며, 크게 아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논술형 실기 (시나리오, 영상기획 등)
  2. 포트폴리오 제출 + 면접
  3. 학생부 위주 (일부 대학)

※ 일부 상위권 대학은 논술 + 면접 복합형으로 평가하며,
※ 예술대학 중심의 실기중심 대학은 포트폴리오/영상작품 제출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1. 실기 유형별 준비 전략

① 시나리오 및 구성력 평가 (논술형 실기)

  • 제시된 단어나 상황을 바탕으로 단편영화 줄거리, 장면 설명, 영상기획안 등을 쓰는 유형
  • 제한 시간 내에 스토리텔링 구조, 주제의식, 인물 묘사가 자연스럽게 드러나야 함

준비 팁:

  • 다양한 장르의 시나리오 읽기
  • 일상 관찰 일지 쓰기
  • 초단편 구성 연습(기-승-전-결) 반복

② 포트폴리오 제작

  • 영상작품, 단편영화, 시나리오, 콘티 등 자신이 기획·제작한 결과물 중심
  • 작품 수보다 ‘자기 색깔’이 드러나는 기획의도, 콘셉트 명확성이 중요

추천 구성 예시:

  • 영상기획서 + 콘티 + 짧은 영상물 (2~3분)
  • 사진 시리즈 + 글
  • 시나리오 + 연출노트

③ 면접

  • 제출한 포트폴리오나 실기결과물에 대한 질문이 주를 이룸
  • 창의성보다 본인의 논리력과 태도, 창작에 대한 진지한 관점이 더 중요하게 평가됨

자주 나오는 질문:

  • 어떤 감독을 좋아하나요?
  • 본인 작품 중 가장 애착 가는 이유는?
  • 시나리오의 인물 설정 이유는?
  • 영화를 왜 만들고 싶나요?

2. 영화영상학과 입시 준비 흐름 정리

시기준비 내용
고1~고2 영화 감상과 비평 훈련, 영상 제작 경험 쌓기
고2~고3 초 시나리오 작성법, 영상기획서, 포트폴리오 구성 시작
고3 상반기 실기 유형 파악, 기출문제 풀이, 입시학원 병행 가능
고3 하반기 지원 대학별 실기 연습 집중, 자기소개서·면접 준비
 

3. 실기 없이 학생부 전형 준비 팁

일부 대학은 실기 없이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모집합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요소가 중요합니다.

  • 동아리 활동: 영화제작, 미디어 연구, 영상비평 등 주제 일관성
  • 세특 내용: 영화 관련 수업에서의 태도, 프로젝트 결과 강조
  • 독서 활동: 영화·예술·비평 관련 도서, 감독론, 매체이론 등
  • 자기소개서: 본인이 왜 영화를 하고 싶은지, 어떤 세계를 표현하고 싶은지에 대한 ‘진정성’

4. 추천 준비 활동

  • 단편영화제 참여 또는 공모전 도전
  • 유튜브 채널 개설: 스스로 기획/촬영/편집한 콘텐츠 업로드
  • 독립영화나 영화제 자원활동 참여: 영화 현장 경험 제공
  • 영상 제작 앱 및 편집툴 활용 능력 키우기: 프리미어, 파이널컷, 다빈치 등

마무리 요약

영화영상학과 입시는 단순히 예술적 감각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힘, 영상으로 표현하는 감각, 그리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까지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건 ‘내가 왜 영화를 하고 싶은가’에 대한 확고한 생각과 태도입니다.
그것이 실기든 포트폴리오든 면접이든 자신만의 색깔로 드러날 때,
영화영상학과 합격의 가능성은 더 높아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