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접기사 실기 시험 준비법과 작업형 기출 분석

Worker1 2025. 6. 20.
반응형

용접기사 실기시험은 실제 용접 기술을 평가하는 작업형 시험으로, 많은 수험자들이 가장 까다롭다고 느끼는 구간입니다. 단순한 이론 암기나 필기 시험과는 달리, 장비 운용 능력, 비드 품질, 작업 안전수칙 준수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접기사 실기시험의 구조, 선택 가능한 용접 방식별 특징과 기출 유형, 그리고 효과적인 실기 연습 방법과 합격을 위한 팁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용접기사 실기 시험 개요

  • 시험 유형: 작업형(실제 용접 작업)
  • 시험 시간: 약 2~3시간 (시험장 별도 공지 기준)
  • 합격 기준: 100점 만점 중 60점 이상

수험자는 CO₂용접(MAG), 피복아크용접(SMAW), TIG용접(GTAW)2개 방식을 선택하여 응시합니다.


실기 시험에서 선택 가능한 용접 방식

1. 피복아크용접 (SMAW)

  • 가장 기본적이고 전통적인 용접 방식
  • 피복된 용접봉을 이용해 전기 아크를 발생시켜 모재를 녹여 접합
  • 슬래그 제거, 언더컷 방지, 아크 길이 유지가 중요

초보자 체감 난이도: 중
기출 유형: 맞대기 이음, 필렛(삼각) 용접, 수직/수평 위치 작업


2. CO₂용접 (MAG)

  • 반자동 용접기로 와이어가 자동 공급되며, CO₂ 가스로 아크를 안정화
  • 생산성이 높고, 자동차·건설구조물에서 가장 널리 사용

초보자 체감 난이도: 하~중
기출 유형: 수평·수직 맞대기 이음, 필렛 용접, 다층 비드 작업
장점: 비교적 쉽고 연습효과 빠름, 용접기 작동 단순


3. TIG용접 (GTAW)

  • 텅스텐 전극을 사용하며, 아르곤 가스를 주로 사용
  • 비철금속(알루미늄, 스테인리스)에 적합, 고난도 정밀 용접에 활용

초보자 체감 난이도: 상
기출 유형: 얇은 판재 맞대기 이음, 곡면 용접, 연속 비드 품질
단점: 숙련이 필요한 방식, 고정과 토치 제어가 까다로움


기출 유형별 실기 작업 예시

기출유형설명
맞대기 이음(Butt welding) 판재를 나란히 맞대고 접합하는 가장 기본적 유형
필렛용접(Fillet welding) 직각 이음부에 삼각형 비드를 형성하는 작업
수직 용접 아래에서 위로 진행하는 수직 작업, 난이도 높음
다층비드(Multi-pass) 비드를 2~3단 겹쳐서 균일하게 형성하는 고급 작업
언더컷/오버랩 방지 외관평가에서 가장 자주 감점되는 결함 유형
 

실기 연습 시 꼭 익혀야 할 항목

1. 비드 형성 연습

  • 폭, 높이, 두께가 균일한 비드를 형성하는 능력이 핵심
  • 언더컷(홈 파임), 오버랩(흘러내림), 기공 등 외관결함은 감점 요인

2. 전류·속도 세팅 반복 실험

  • CO₂: 전류와 전압, 송급 속도 조절 중요
  • 아크: 아크 길이 유지, 스트링어/위빙 선택
  • TIG: 토치 각도, 피더 조작, 열입력 제어 등 고난도 조작 연습 필수

3. 작업 자세와 고정법

  • 작업 위치별(수직, 수평, 오버헤드) 자세 차이 훈련
  • 클램프와 지그 사용법에 따라 작업 안정성과 비드 품질에 영향

채점 기준과 실수 방지 팁

항목주요 감점 사유
비드 외관 들쭉날쭉한 폭, 균일하지 못한 높이, 기공 발생
작업 순서 예열 누락, 순서 착오로 인한 불완전 융합
안전장비 보호구 미착용 시 실격 위험 있음
슬래그 제거 슬래그 미제거로 비드 판단 불가 → 감점
 

반드시 보호장비 착용, 예열·후열 절차 준수, 정해진 순서대로 작업해야 합니다.


합격을 위한 실기 훈련 팁

  • 기초 10시간 → 구조 훈련 20시간 → 실전 모의 작업 20시간 이상 추천
  • 비드 품질 = 연습량 → 실기에서는 절대 속성 학습 불가능
  • 작업 기록 노트를 만들고, 전류·속도·결과를 수치화해 비교하면 개선 속도 상승
  • 가능하면 훈련기관, 기능장 지도, 정비된 장비 환경에서 연습할 것

요약: 용접기사 실기는 기술력+경험이 합격을 만든다

  • 실기시험은 실제 작업 환경에서의 정확도, 숙련도, 안정성 평가가 핵심
  • CO₂, 아크, TIG 방식 중 본인에게 맞는 2종 선택이 중요
  • 비드 형상 훈련, 장비 조작 숙련, 반복 작업을 통한 감각 확보가 필요
  • 외관 품질 + 작업 안전 + 순서 정확성이 합격 여부를 좌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