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과 vs 도서관학과 vs 기록관리학과 차이점 정리
반응형
책과 기록, 정보 관리에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 문헌정보학과, 도서관학과, 기록관리학과 중 어떤 전공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세 학과 모두 ‘정보’를 다루는 공통점이 있지만, 학문의 초점, 진출 분야, 교육 방식은 분명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세 전공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비교해, 진로 선택에 도움이 되도록 정리해드립니다.
기본 개념 정리: 어떤 전공인가요?
전공명핵심 정의주요 영역
문헌정보학과 | 정보 수집·분류·검색·활용 전반을 다루는 정보학 기반 전공 | 도서관, 정보검색, 디지털 큐레이션 |
도서관학과 | 도서관 운영과 서비스에 특화된 실무형 학문 | 공공·학교도서관 운영, 독서프로그램 |
기록관리학과 | 공공 및 민간기관의 기록물 보존·평가·활용에 특화된 전공 | 기록물 평가·보존, 아카이브 구축 |
※ 현재 국내 대학에서는 '도서관학과'라는 명칭 대신 ‘문헌정보학과’로 통합되어 운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문헌정보학과: 정보 전문가의 시작점
핵심 특징
- ‘문헌’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에서 출발하지만, 현재는 디지털 정보와 메타데이터 중심 학문으로 확장
- 도서관뿐 아니라 기업의 아카이빙, 정보검색, 디지털 큐레이션 업무까지 포함
교육 내용
- 정보 조직론, 정보 검색론, 메타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 정보이용자 분석, 자료 분류, 온라인 정보 서비스
진출 분야
- 공공·학교·전문도서관 사서
- 전자도서관, 콘텐츠 큐레이터, 정보 DB 관리
- 기업 내 문서 및 지식관리 담당자
2. 도서관학과: 실무 중심 도서관 운영 교육
핵심 특징
- 도서관 조직 운영에 직접 투입될 실무자 양성 중심
- 관장, 사서, 프로그램 운영자 등 현장 중심 인력 양성
교육 내용
- 도서관경영론, 독서지도론, 참고서비스, 이용자 교육
- 자료 분류와 대출 서비스 운영, 도서관 행정 실습
진출 분야
- 시립·구립 도서관, 작은도서관, 학교도서관
- 독서문화센터, 문화재단, 공공기관 도서관 실무직
- 사서교사(교육대학원 연계 시)
※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도서관학과가 ‘문헌정보학과’로 통합되거나, 해당 전공 내 트랙으로 운영됨
3. 기록관리학과: 기록물의 전문가 양성 전공
핵심 특징
- 행정, 기업, 기관에서 발생하는 문서 및 기록물의 수집·보존·평가·폐기 기준을 다루는 특화 전공
- 법률적 요건과 아카이빙 시스템 설계 능력이 요구됨
교육 내용
- 기록관리이론, 기록정보분류법, 전자기록관리, 보존처리
- 공공기록물법, 기록물 평가 및 이관 실습
진출 분야
- 국가기록원, 지자체 기록관, 국립대학 기록관
- 방송사·병원·금융사 등 민간 기업의 기록관리실
- 아카이브 설계 및 기록 정책 담당자
※ 일반 문헌정보학과 졸업생은 대학원 진학 또는 기록관리학 복수전공을 통해 이 분야로 진출 가능
전공별 비교 요약표
비교 항목문헌정보학과도서관학과기록관리학과
학문 성격 | 정보과학 기반 이론+실무 | 실무 중심 도서관 운영 | 기록 중심의 행정·법적 관리 |
주요 진출처 | 도서관, 기업정보실, 콘텐츠기업 | 공공·학교도서관 | 국가기관, 공공기관, 기업 기록실 |
자격증 | 사서 2급, 독서지도사, 정보검색사 | 사서 2급, 독서논술지도사 | 기록물관리사(국가기술자격) |
확장 가능성 | 정보기술, 큐레이션, 메타데이터 | 교육/문화분야 실무 | 법률·정책 기반 정보관리 분야 |
전공 선택 팁: 어떤 전공이 나에게 맞을까?
내가 선호하는 성향추천 전공
정보 정리와 구조화에 흥미가 있다 | 문헌정보학과 |
도서관에서의 서비스 운영에 관심이 많다 | 도서관학과 (또는 문헌정보학 내 실무 트랙) |
공공기관이나 기업에서 공식 기록물을 관리하고 싶다 | 기록관리학과 |
요약: 문헌정보학과·도서관학과·기록관리학과 차이 정리
- 문헌정보학과: 정보 분류, 검색, 디지털 큐레이션 중심 전공. 사서 자격과 다양한 정보 산업 진출 가능
- 도서관학과: 도서관 실무 중심 전공. 대부분 문헌정보학과로 통합되어 운영됨
- 기록관리학과: 공공 및 기업 기록물을 대상으로 한 특화된 정보관리 전공. 법적, 행정적 역할 중요
- 각각의 전공은 정보에 대한 접근 방식과 실무 적용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으므로, 진로 목표에 따라 선택해야 함
결론적으로 이 세 전공은 모두 ‘정보’라는 키워드를 공유하지만, 그 정보를 어떻게 다루고, 누구를 위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활용할 것인지에 따라 그 역할과 진로가 달라집니다.
문헌정보학과는 그 중에서도 가장 넓은 진출 범위를 가진 전공으로, 디지털 시대에 맞춰 지식 정보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진로 고민 중이라면, 각 전공의 수업 내용과 실제 취업 방향을 미리 조사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쉽게 쓰여지는 글 > Major and Employ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치료학과 개설 대학과 입시 등급 정리 (0) | 2025.05.10 |
---|---|
문헌정보학과 개설대학과 입시 성적 정리 (0) | 2025.05.10 |
문헌정보학과 진로와 사서자격증 완전정리 (0) | 2025.05.10 |
문헌정보학과 커리큘럼과 배우는 과목 정리 (0) | 2025.05.10 |
물리치료학과 진로와 국가고시 합격률 정리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