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학과 개설 대학과 입시 성적 정리
반응형
출판학과는 이름만 들어도 전통적인 느낌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콘텐츠 산업과 연결된 실무 중심 학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개설된 대학 수가 많지 않고, 유사 전공과 함께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정보를 찾기 어려운 편입니다. 이 글에서는 출판학과가 개설된 대학, 입시 전형 방식, 그리고 **최근 입시 성적 수준(등급/백분위)**을 정리해 알려드립니다.
출판학과(또는 유사 학과) 개설 대학 현황
현재 전국에 순수한 이름의 ‘출판학과’는 드물고, 대부분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문예창작학과(출판문화 전공 트랙 운영)
- 국립대학 중 드물게 출판문화, 편집, 기획 중심 수업 운영
- 문예창작, 미디어, 출판 기획까지 복합적으로 배울 수 있음
2. 상명대학교 – 출판미디어학과
- 국내 최초의 ‘출판’ 명칭이 포함된 전공으로, 편집·기획·디자인 교육 강화
- 디지털 콘텐츠와 미디어 활용 수업 비중 높음
3. 성결대학교 – 문헌정보학과 내 출판문화 과정
- 정보관리, 아카이브, 출판 실무 교육 병행
- 도서관학 + 출판학 융합형 과정
4. 동덕여자대학교 – 문예창작과(출판문화 실습 운영)
- 여성 특화 콘텐츠 교육 강화, 출판 및 콘텐츠 편집 실무 중심의 수업 제공
5. 건국대학교 GLOCAL 캠퍼스 – 문화콘텐츠학과
- 출판, 영상, 콘텐츠 마케팅을 포괄하는 실무형 콘텐츠 전공
※ 일부 전문대학(예: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계원예대 등)에서는 출판디자인, 콘텐츠기획 중심의 전공도 운영
전형 방식 및 입시 유형
출판 관련 학과들은 대부분 **문과 계열(인문사회)**로 분류되며, 다음과 같은 입시 전형이 주로 활용됩니다.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학교생활기록부 중심 평가
- 독서활동, 동아리, 자기소개서, 진로탐색 활동이 중요한 평가 요소
- 글쓰기 능력, 문해력 관련 활동 어필 필요
▶ 논술전형
- 일부 대학(상명대 등)에서 인문 논술 시행
- 주제 분석, 문제 해결형 글쓰기 중심 평가
- 글쓰기 구조와 논리력이 평가 포인트
▶ 수능 중심 정시전형
- 대부분 국어 + 영어 + 탐구 과목을 중심으로 반영
- 수학은 선택 가능(확통, 미적분 등), 가산점 여부 확인 필요
- 출판학과는 ‘글’ 중심이라 국어 영역 비중이 높게 반영되는 경우 많음
최근 입시 성적 수준 (참고용)
※ 2024학년도 입시 기준이며, 학교별 세부 기준에 따라 변동 가능
대학전형합격자 내신 등급 (평균)비고
서울과학기술대 | 학종 | 1.9 ~ 2.4 | 국립대, 서울권 |
상명대학교 | 학종 | 2.3 ~ 2.8 | 논술전형 병행 운영 |
성결대학교 | 학종 | 2.5 ~ 3.1 | 비교적 진입 장벽 낮음 |
동덕여대 | 교과 | 2.2 ~ 2.6 | 여대 특성, 언어중심 수업 |
건국대 글로컬 | 정시 | 백분위 82~88% | 수능 중심, 탐구 영향 큼 |
※ 상위권 대학은 글쓰기 기반 포트폴리오나 수상경력의 유무가 중요한 평가요소로 작용
출판학과 진학을 위한 입시 준비 팁
1. 독서 기록과 글쓰기 활동 강화
- 독서 활동에서 출판 관련 도서(출판기획, 편집자 에세이 등) 선택
- 학교 독서토론, 글쓰기 대회 등 참여하면 평가에 긍정적
2. 콘텐츠 기획 관련 경험 정리
- 웹진 제작, 블로그 운영, 독립출판 활동 경험 등
- 글을 통해 정보를 구조화하는 능력을 어필할 수 있음
3. 자기소개서에 진로 연계 내용 포함
- “왜 출판학과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 기반 서술
- 콘텐츠를 기획하거나 편집해본 사례 중심 정리
요약: 출판학과 대학 및 입시 정보 정리
- 출판학과 단독 개설은 드물며, 문예창작·미디어·콘텐츠 계열에서 통합 운영
- 서울과학기술대, 상명대, 동덕여대 등이 대표적인 개설 대학
- 내신 1.9~3.0, 정시 백분위 80~90% 수준에서 지원 가능
- 학종 대비 시 독서·글쓰기·기획 관련 경험 강조 필요
- 논술과 수능 국어 성적도 당락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
출판학과는 콘텐츠 산업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책을 넘어 디지털 콘텐츠와 플랫폼 기반 콘텐츠 기획까지 아우르는 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자신만의 글쓰기 경험과 기획 역량을 잘 정리해 입시에 활용해보시길 권합니다.
출판이라는 분야는 꾸준히 변화하고 있지만, 읽고 쓰고 편집하는 사람의 가치는 여전히 중심에 있습니다.
반응형
'쉽게 쓰여지는 글 > Major and Employ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학과 커리큘럼과 배우는 과목 정리 (0) | 2025.05.10 |
---|---|
재활학과 진로 및 자격증 한눈에 정리 (0) | 2025.05.10 |
출판학과 vs 문예창작과 vs 국어국문학과 차이 완전 정리 (0) | 2025.05.09 |
출판 관련 자격증과 실무 포트폴리오 준비법 (0) | 2025.05.09 |
출판학과에서 배우는 과목과 실무 중심 커리큘럼 정리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