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학과와 해양공학과의 차이점 완전 정리

Worker1 2025. 5. 2.
반응형

해양 분야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은 해양학과와 해양공학과의 차이를 놓고 헷갈려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두 전공 모두 바다와 관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학문 목적, 수업 내용, 진로 방향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해양학과와 해양공학과의 전공 개요, 배우는 과목, 졸업 후 진로를 명확하게 비교해드립니다.


해양학과 vs 해양공학과: 핵심 비교표

항목해양학과해양공학과
학문 목적 바다 자체에 대한 과학적 이해 바다 위/아래 구조물의 설계와 운용
주요 학문 분야 물리, 화학, 생물, 지질, 기후 조선, 구조역학, 유체역학, 해양시스템
접근 방식 환경·자연과학 중심 공학·기술 중심
수업 방식 이론 + 실습 (관측, 분석 중심) 설계 + 실험 (시뮬레이션 중심)
대표 과목 해양물리학, 해양화학, 해양생물학, 해양기후학 해양구조역학, 해양건설, 선체설계, 해양시스템공학
진로 방향 해양조사원, 해양환경연구소, 기상청, NGO 조선해양기업, 해양플랜트, 해저케이블 시공사 등

해양학과는 무엇을 공부하나요?

자연과학 기반의 전공으로, 바다 그 자체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바다의 움직임, 생물, 화학적 성분, 지질 구조, 대기와의 상호작용 등 지구 시스템 안에서 해양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과학적으로 분석합니다.

주요 수업 예시

  • 해양물리학: 해류, 조석, 파도 등의 메커니즘
  • 해양화학: 바닷물의 염분, pH, 오염물질 분석
  • 해양생물학: 해양 생태계, 플랑크톤, 어류 생태
  • 해양지질학: 해저 지형, 지진, 판구조 이론
  • 해양기후학: 해양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해양환경 문제, 기후 위기 대응, 생물 다양성 보전에 관심이 많다면 적합


해양공학과는 무엇을 공부하나요?

공학 기반의 전공으로, 바다 위 또는 해저에 존재하는 구조물을 설계·시공하는 학문입니다.
조선해양산업, 해양플랜트, 해양에너지 개발 등 실질적인 인프라 기술 구현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주요 수업 예시

  • 구조역학 및 해양구조물 설계
  • 해양플랜트공학, 선박유체역학, 해양토목공학
  • CAD,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한 설계 실습
  • 해저케이블, 부유식 구조물, 해상풍력기초 구조물 설계

실무형 기술직, 대형 해양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학생에게 적합


졸업 후 진로도 명확히 다르다

해양학과 진로

  • 국립해양조사원, 기상청,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 환경영향평가, 해양기후분석, 생태모니터링
  • 해양환경 NGO, 연구소, 대학원 진학

해양공학과 진로

  •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해양건설사
  • 해양플랜트 설계사무소, 해양토목/항만공사 기술직
  • 조선해양기술연구원, 해양플랫폼 개발회사

비슷해 보이지만 목적이 다르다

  • 해양학과는 바다의 상태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중점
  • 해양공학과는 바다에 **‘기술을 적용하고 구조물을 구현’**하는 데 중점

즉, 해양학과는 바다를 연구하는 사람,
해양공학과는 바다에서 구조물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요약: 나는 해양을 어떻게 다루고 싶은가?

  • 바다의 변화, 환경문제, 생태계 보존에 관심이 있다면 해양학과
  • 해상 구조물, 조선산업, 해양건설 기술에 관심이 있다면 해양공학과

두 전공 모두 해양이라는 공통된 공간을 다루지만,
관찰하고 해석하는가, 혹은 설계하고 구축하는가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자신의 성향과 진로 희망을 바탕으로 방향을 선택하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