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학과 진학 방법 정리: 통합 6년제부터 학사 편입까지

Worker1 2025. 5. 1.
반응형

현재 국내에서 약학과에 진학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통합 6년제 약학대학 입시(고등학교 졸업자 대상)
  2. 학사 편입 전형(기존 대학 졸업자 대상)

각 방식의 차이점과 전형별 준비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통합 6년제 약학대학 입시

개요

  • 2022학년도부터 시행
  • 고등학교 졸업 직후 곧바로 6년제 약학과에 입학 가능
  • 교육과정: 2년 예과 + 4년 본과
  • 졸업 후 약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 부여

전형 방식

  •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학종), 지역인재 전형, 논술 전형 등
  • 정시: 수능 위주 전형

주요 반영 요소

  • 수능 과목: 국어, 수학(미적분 또는 기하 필수), 과탐 2과목(화학+생물 조합 유리)
  • 내신: 의학계열과 마찬가지로 최상위권 경쟁 (1.1~1.5등급대)
  • 자기소개서: 과학 활동, 봉사 경험, 학업계획 등을 중심으로 평가

추천 준비 전략

  • 고등학교 내신 성적 관리 (특히 과학 과목)
  • 생명과학·화학 심화 학습
  • 약학대학 인재상에 맞춘 비교과 활동(과학탐구대회, 독서, 실험활동 등)
  • 면접 대비: 약물, 의약윤리, 보건 관련 시사 이슈 숙지

2. 약학대학 학사 편입 제도

개요

  • 일정 전공기초 과목 이수 후 **학사학위 소지자(또는 예정자)**에게 편입학 자격 부여
  • 선발 후 약학대학 3학년으로 편입하여 4년 과정 수료 후 약사시험 응시 가능
  • 편입 가능한 대학 수는 제한적이며 매년 모집 규모 변동 있음

주요 전형 요소

  • PEET(Pharmacy Education Eligibility Test): 약학 입문자격시험
  • 전적 대학 성적
  • 면접, 서류(자기소개서, 학업계획서 등)

PEET 과목 구성

  • 일반화학 / 유기화학 / 생물학 / 물리학
  • 시험은 매년 8월경 시행, 수험생은 약 1~2년 준비

추천 준비 전략

  • 과학 과목 중심의 심화 학습
  • 공신력 있는 학원이나 독학 커리큘럼 구성
  • 전공 기초 과목 성적 관리
  • 약학 관련 활동 및 면접 준비

3. 통합 6년제 vs 학사 편입 비교

항목통합 6년제학사 편입
지원 시기 고교 졸업 직후 학사학위 취득 후
학제 6년(2년+4년) 4년(3학년 편입 후 4년 과정)
시험 방식 수능 또는 학생부 PEET + 서류 + 면접
난이도 수시/정시 모두 최상위권 경쟁 준비 기간 길고 경쟁 치열
장점 빠르게 진입 가능, 커리큘럼 일관 성인 수험생에게 기회 제공

요약
고등학생은 6년제 수시·정시를 노리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전공자나 타학과 졸업생은 PEET 편입을 통한 진입이 대안이 됩니다.


4. 약학대학 입시와 연계된 전공 및 활동

  • 고교 시절: 화학, 생물, 수학(미적분 이상)은 반드시 심화
  • 대학교 기초과정: 일반화학, 유기화학, 생물학, 생화학 이수 필수
  • 비교과 활동: 의약 관련 봉사활동, 제약회사 인턴, 약학 관련 독서활동 등

요약: 약학과 진학은 두 가지 경로, 전략적 선택이 중요

약학과는 통합 6년제 신입학 전형PEET 중심의 학사편입 전형이라는 두 가지 주요 경로로 진학이 가능합니다.

  • 고등학생이라면 통합 6년제에 맞춘 내신·수능 전략이 필요하며
  • 대학생·성인이라면 PEET 편입을 통한 입시가 가능합니다.

입시 제도 자체가 변화 가능성이 높고 경쟁률이 높기 때문에, 진학 전부터 구조와 커리큘럼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 전략을 짜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