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전기공학과 전공과목과 커리큘럼 총정리
전자전기공학과에서 배우는 과목과 커리큘럼은 이공계 진학을 고려하는 수험생이나
전공 탐색 중인 대학생, 산업 현장을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 모두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는 주제입니다.
전자전기공학과는 전기를 기반으로 하드웨어와 신호, 반도체, 에너지, 통신 기술을 폭넓게 연구하는 공학 분야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자전기공학과에서 배우는 대표 전공 과목들과
학년별 커리큘럼의 흐름을 쉽게 정리하고, 각각의 과목이 어떤 산업과 연결되는지도 함께 설명해드립니다.
전자전기공학과의 전공 체계 개요
전자전기공학과의 전공은 크게 다음의 네 분야로 구분됩니다.
- 회로 및 전자 소자
- 신호 및 통신
- 전기 에너지 및 제어
-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
각 분야는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
기초 지식과 실무 역량을 균형 있게 갖추는 구조로 구성됩니다.
전자전기공학과 전공과목 구성
1. 회로이론과 전자기초
- 회로이론 (Circuit Theory)
전기 신호가 흐르는 원리와 기본 회로 구성 방식 학습
저항, 전압, 전류, 커패시터, 인덕터 등 기초 소자 이해 - 전자기학 (Electromagnetics)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작용을 수학적으로 설명
전자파, 안테나, 무선통신의 이론적 기반
전기·전자공학의 핵심 기반으로, 다른 모든 전공과목의 기초가 됩니다.
2. 전자회로 및 반도체 소자
- 전자회로 (Electronic Circuits)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능동소자를 활용한 증폭 회로 설계
아날로그 회로부터 디지털 회로 기초까지 포함 - 반도체 소자 (Semiconductor Devices)
PN 접합, MOSFET, BJT 등 반도체의 동작 원리 이해
반도체 산업과 직접 연결되는 핵심 이론
반도체 설계, 시스템반도체, 디스플레이, 센서 개발 분야와 연결됩니다.
3. 디지털 논리회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 디지털 논리회로 (Digital Logic)
논리게이트, 플립플롭, 카운터, FSM 등 이산 시스템 설계
컴퓨터 구조 및 임베디드 시스템 기초가 되는 과목 -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Systems)
CPU 구조, 어셈블리 언어,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이해
실습 중심으로 소형 시스템 설계 역량 강화
IoT, 로봇, 스마트 기기 제어 시스템과 밀접한 과목입니다.
4. 신호 및 시스템
- 신호 및 시스템 (Signals and Systems)
시간 영역,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를 해석하는 방법
필터 설계, 라플라스 변환, 푸리에 해석 등 이론 기반 수학 활용 - 디지털 신호처리 (DSP)
오디오, 이미지, 센서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
실시간 처리, 필터링, FFT 등의 알고리즘 학습
음성인식, 영상처리, 자율주행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됩니다.
5. 전력전자 및 전기기기
- 전력전자 (Power Electronics)
고전력 스위칭, 인버터, 컨버터 설계 등 전기 에너지 제어 기술
태양광, 전기차, 스마트그리드의 핵심 기술 - 전기기기 (Electric Machinery)
모터, 발전기, 변압기 등 에너지 변환 장치의 원리와 설계
스마트에너지, 산업 자동화, 친환경 전력 시스템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6. 제어공학 및 시스템 설계
- 제어공학 (Control Systems)
센서로 입력을 받아 출력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폐루프 시스템, 피드백 제어, 안정성 해석 - 자동제어 실습 및 프로젝트
실제 회로 구현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
자율주행차, 드론, 산업용 로봇 제어 기술과 연결됩니다.
학년별 커리큘럼 흐름 요약
1학년 | 일반물리, 미적분, 기초프로그래밍, 공학개론 |
2학년 | 회로이론, 전자기학, 디지털논리, 선형대수 등 기초 전공 |
3학년 | 전자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공학, 통신공학, 신호 및 시스템 |
4학년 | 졸업 프로젝트, 전력전자, 실무 설계, AI 융합 수업 등 심화 과정 |
※ 각 학년마다 실험 과목이 포함되어 이론과 실습을 동시에 강화하는 구조입니다.
마무리 요약
전자전기공학과 과목과 커리큘럼 핵심 정리
- 기초 이론: 회로이론, 전자기학, 디지털논리
- 전공 심화: 반도체, 제어, 전력전자, 신호처리
- 응용 실습: 마이크로프로세서, 통신공학, 임베디드 시스템
- 학년별 흐름: 1학년 기초 → 2~3학년 전공 → 4학년 졸업설계 및 융합
- 산업 연결성: 반도체, 전력, 통신, 로봇, 자율주행 등 다양한 첨단 분야와 직결
전자전기공학은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신호를 분석하고, 하드웨어 기반 시스템을 설계하는 공학의 근간입니다.
기초 이론부터 실무 설계까지 폭넓게 다루기 때문에, 공학의 중심축이자 다방면으로 진출 가능한 전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쓰여지는 글 > Major and Employ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전기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 차이 비교 정리 (0) | 2025.04.29 |
---|---|
전자전기공학과 진학에 필요한 과목과 준비 방법 (0) | 2025.04.29 |
전자전기공학과 개설 대학과 학교별 특징 비교 (0) | 2025.04.29 |
교육학과 개설 대학과 학교별 특징 비교 (0) | 2025.04.29 |
교육학과 진학에 유리한 과목과 준비 방법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