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PT 급수별 난이도 정리
JLPT 급수는 일본어 실력을 단계별로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JLPT는 N1부터 N5까지 총 5단계로 나뉘며, 숫자가 작을수록 더 높은 수준을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각 급수의 JLPT 난이도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JLPT 급수별 차이를 실제 시험 내용과 비교해 설명드립니다.
JLPT 급수는 어떻게 나뉘나?
JLPT(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는 일본 국제교류기금과 일본국제교육지원협회가 주관하는 일본어 공인시험으로, 전 세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시험은 N1, N2, N3, N4, N5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낮은 단계는 N5, 가장 높은 단계는 N1입니다. 시험은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청해’ 세 파트로 나뉘며, 급수별로 다루는 어휘 수, 문장 구조, 청해 속도 등이 다릅니다.
JLPT N5 – 일본어 첫걸음
대상: 일본어를 막 시작한 초보자
난이도: 매우 쉬움
출제 포인트:
- 히라가나, 가타카나 완전 숙지
- 일상 생활에서 쓰는 기초 단어 약 800개
- 아주 짧고 쉬운 문장 독해
- 간단한 인사 표현, 자기소개 이해 가능
예시 문장: わたし は がくせい です。
추천 학습법: 단어 암기 앱, NHK Easy News, 기초 회화 중심 교재 활용
JLPT N4 – 기초 문법의 확장
대상: 초급을 마치고 기본 문법을 익힌 학습자
난이도: 쉬움
출제 포인트:
- 약 1,500개 단어와 300개 한자
- 문형이 다양해짐 (〜たり、〜そうです 등)
- 간단한 뉴스나 안내문 이해 가능
- 천천히 말하는 일본어 청취 가능
추천 학습법: N4 문법서, 짧은 드라마 자막 공부, 청해 문제 반복 듣기
JLPT N3 – 중급의 시작점
대상: 일본어 중급자
난이도: 중간
출제 포인트:
- 약 3,000~3,500단어, 650~700개 한자
- 비즈니스 이메일, 회의 메모 등 실용 문서 등장
- 일본 드라마나 뉴스 일부 이해 가능
- 독해 지문이 길고 구조가 복잡해짐
추천 학습법: 일본 뉴스 읽기, N3 기출 문제 풀이, 실제 회화 패턴 학습
JLPT N2 – 실무와 일상 회화 수준
대상: 일본에서 생활하거나 취업 준비 중인 학습자
난이도: 어려움
출제 포인트:
- 약 6,000단어, 1,000개 이상의 한자
- 공식 문서, 신문 칼럼 독해
- 빠른 속도의 뉴스나 회화 청취
- 문법이 다양하고 복잡함
추천 학습법: 일본어 라디오, N2 뉴스 기사 요약, 주관식 해석 훈련
JLPT N1 – 원어민에 가까운 수준
대상: 일본어 고급 사용자
난이도: 매우 어려움
출제 포인트:
- 약 10,000단어 이상, 2,000개 이상의 한자
- 문학 작품, 전문 서적 독해
- 고속 청해, 표현이 풍부하고 추상적
- 문장 내 뉘앙스 이해, 독해 질문이 깊이 있음
추천 학습법: 일본 신문 사설 분석, NHK 라디오 청취, JLPT N1 독해 집중 훈련
급수 선택은 이렇게 하세요
N5 | 입문자 | ~800 | 기초 단어, 간단한 문장 |
N4 | 초급자 | ~1,500 | 짧은 지문 독해 가능 |
N3 | 중급 초입 | ~3,500 | 실제 문서 읽기 시작 |
N2 | 중고급 | ~6,000 | 뉴스와 비즈니스 회화 |
N1 | 고급 | ~10,000 | 문학, 고급 표현 해석 |
마무리 요약
- JLPT는 N5부터 N1까지 5단계로 구성되며, 숫자가 작을수록 난이도는 높아집니다.
- 초보자라면 N5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올라가는 것이 좋습니다.
- 각 급수는 단어 수, 문법 복잡도, 독해와 청해의 수준에 따라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 자신에게 맞는 급수를 먼저 파악하고, 해당 난이도에 맞는 교재와 학습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 준비 전략입니다.
'쉽게 쓰여지는 글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주도학습 계획표 작성법과 시간표 예시, 실천 가능한 루틴 만들기 (0) | 2025.04.18 |
---|---|
공부 싫어하는 아이 동기부여하는 방법과 말투 (0) | 2025.04.18 |
자기주도학습 시기별 차이, 초등·중등·고등 맞춤 전략 정리 (0) | 2025.04.18 |
자기주도학습 잘하는 방법, 꾸준함을 만드는 습관 전략 (0) | 2025.04.18 |
자기주도학습이란? 정확한 정의와 실천을 위한 핵심 개념 정리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