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상디자인학과 포트폴리오 준비법 총정리

Worker1 2025. 6. 25.
반응형

영상디자인학과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요?
바로 포트폴리오입니다. 특히 실기전형이 포함된 대학의 경우, 단순한 그림 실력이나 영상 편집 능력보다 자신만의 시각과 메시지를 담은 포트폴리오가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영상디자인학과 입시요강의 핵심 포인트와 포트폴리오 준비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합니다. 수험생, 재수생, 그리고 관련 진학을 준비 중인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영상디자인학과 입시는 어떤 방식일까?

1. 전형 유형은 대학마다 다양

대부분의 영상디자인학과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학생을 선발합니다.

  • 실기전형 (비실기 병행 가능)
  • 서류전형 (자기소개서 + 포트폴리오 제출)
  • 면접전형 (포트폴리오 기반 질의응답)
  • 수능 위주 전형 (일부 국공립대)

특히 예술계열 영상디자인학과는 실기나 포트폴리오의 비중이 매우 높으며, 디자인과 영상 이해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포트폴리오,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1. 핵심은 ‘표현력’보다 ‘기획력’

많은 학생들이 포트폴리오를 기술적인 작업물의 나열로만 구성합니다. 하지만 좋은 포트폴리오는 아이디어 → 기획 → 시각화 과정이 드러나는 구조로 짜여야 합니다.

  • 단순히 예쁜 것보다 ‘왜 이렇게 만들었는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스토리텔링과 시각적 전달력이 핵심입니다.

2. 어떤 작업물이 포함되면 좋을까?

유형예시 작업물
그래픽 디자인 인포그래픽, 브로슈어, 포스터
모션그래픽 After Effects 기반 영상
시나리오 짧은 영상 콘텐츠 기획안
영상 편집 주제 있는 브이로그, 광고 영상
콘셉트보드 색감과 톤을 정리한 기획 이미지
 

작품 수는 5~10개 내외, 분량보다는 다양성과 완성도가 중요합니다.


대학별 실기시험 유형

1. 드로잉·기초디자인 실기

예체능 계열로 영상디자인을 운영하는 대학에서는 기초디자인(색채, 명암, 조형 표현) 중심의 실기시험을 실시합니다.

  • 제한 시간 내 주어진 주제를 시각적으로 해석
  • 디자인적 사고력과 구성을 평가
  • 예) “오늘의 나를 색으로 표현하시오”

2. 면접 또는 과제제출형 평가

포트폴리오만 제출하고, 면접으로 창의력과 표현 능력을 보는 방식도 많습니다.

  • 포트폴리오에 대한 질의응답
  • 시사 주제에 대한 시각적 해석 아이디어 제시
  • 예) “기후 위기를 주제로 15초 광고를 만든다면?”

영상디자인학과는 예술과 기술이 만나는 학문이기 때문에,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이 중요하게 평가됩니다.


포트폴리오 준비 시 주의할 점

1. 툴을 ‘잘 쓴다’보다 ‘적절히 쓴다’

영상디자인은 툴 숙련도보다, 툴을 통해 어떤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는가를 더 중시합니다.

  • After Effects, Photoshop, Premiere Pr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면 좋지만
  • 툴이 아니라 내용과 콘셉트에 중심을 둬야 합니다.

2. 하나의 주제를 여러 방식으로 풀어보기

예를 들어, ‘환경보호’라는 주제를 인포그래픽 포스터, 영상 광고,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으로 변주해보는 식입니다.

이런 시도는 기획력 + 시각적 다양성 + 메시지 전달력을 모두 보여줄 수 있습니다.


영상디자인학과 입시 준비 요약


항목핵심 내용
전형 방식 실기, 포트폴리오, 면접 등 다양
포트폴리오 구성 5~10개 작품, 기획→제작 과정 포함
주된 평가 기준 창의력, 메시지 전달력, 시각적 구성
유용한 툴 AE, Premiere, Photoshop, Illustrator
준비 팁 콘셉트 중심 기획, 다양한 포맷 시도
 

마무리 요약

영상디자인학과 입시는 단순한 디자인 실력보다 '기획과 시각화의 흐름'을 보여주는 능력이 핵심입니다.

포트폴리오에는 멋진 비주얼보다도 ‘왜 이 콘텐츠를 만들었는가’, ‘어떻게 표현했는가’가 담겨 있어야 합니다.

대학은 ‘툴을 잘 쓰는 사람’보다 자기 생각을 시각적으로 설계할 줄 아는 사람을 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