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생산관리자 되려면? 자격조건과 필요한 역량 정리

Worker1 2025. 6. 12.
반응형

기업생산관리자는 제조업의 핵심 직무 중 하나로, 생산계획부터 자재관리, 품질협업, 공정 조율까지 총괄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만큼 진입장벽이 낮지는 않지만,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면 이공계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진입이 가능한 직무입니다.

이 글에서는 생산관리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학력, 전공, 자격증, 실무역량, 우대사항 등 입직 조건 전반을 구조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기업생산관리자 자격조건, 무엇이 필요할까?

1. 학력 요건

  • 대부분의 제조기업에서 대졸(4년제) 이상을 기본 자격으로 요구
  • 중소기업은 전문대 졸업자도 채용하는 경우 있으나
    공정·자재·품질 등 기초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졸 이상이 유리

2. 전공 제한은 있을까?

전공유·무관 여부설명
산업공학과 유관 전공 생산계획, 공정개선, 품질시스템 등 학습
기계·전기공학 유관 전공 제조 현장 및 설비 이해도 높음
물류·경영학 간접 유관 자재관리, 원가 통제에 유리
인문·사회계열 무관 가능 시스템 이해와 분석 능력으로 극복 가능
 

비이공계 전공자도 ERP, 공정지표, 품질 관련 지식 보완 시 충분히 진입 가능


3. 우대받는 자격증

자격증설명
CPIM (국제생산관리전문가) 생산·자재관리 국제 자격. 대기업에서 우대
ERP 정보관리사 물류/생산모듈 이해에 도움
품질경영기사/산업기사 공정 및 품질 관리 분야 이해도 높임
생산자동화기사 기계·설비 기반 공정관리 직무에 유리
컴퓨터활용능력 1~2급 데이터 정리·보고서 작성 시 필수
 

자격증은 필수는 아니지만, 실무 이해도를 높여주고 서류전형에서 경쟁력을 높임


4. 필요한 실무 역량과 기술

역량구체 설명
계획 수립 능력 수요, 납기, 생산설비 가동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산계획 수립
데이터 분석력 엑셀, ERP 등을 활용한 생산실적·불량률·가동시간 분석
소통 및 협업 능력 자재팀, 영업팀, 품질팀, 현장과 유기적인 협력
현장 이해력 공정 흐름, 설비 동작원리, 작업자의 작업 조건 등 실질적 이해
문제 해결력 납기 지연, 자재 누락, 불량 발생 등 돌발 상황 대응
 

우대 조건 및 현장에서 선호하는 인재상

  • 현장 실습 or 인턴 경험: 생산계획팀, 원가팀, 품질부서 등에서의 경험이 높은 가산점
  • ERP/MES 사용 경험: SAP, 더존, 오라클 등 시스템 활용 경험
  • 보고서 작성력: 실적보고, 주간회의 자료 등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는 능력
  • 자재관리 및 원가 인식: 낭비 없는 생산관리 핵심 요소
  • 공정 개선 아이디어 제안 능력: 개선의지가 있는 인재는 실제 면접에서 선호됨

이런 분이라면 생산관리자로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체계적이고 꼼꼼한 성격
  • 엑셀·숫자에 거부감이 없는 사람
  • 현장 사람들과의 소통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
  • 비효율을 보면 개선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사람
  • 책상 앞보다는 실무 중심의 역동적인 일상을 선호하는 사람

학습 자료 추천

유형추천 자료
입문서 『생산관리의 이해』, 『현장 중심 생산관리』
온라인 강의 K-MOOC 산업공학 개론, 유튜브 ‘공정관리 실무 기초’
커뮤니티 네이버 카페 '생산관리연구소', 브런치 실무자 칼럼
실습 프로그램 더존 ERP, 엑셀 실적관리 시트 직접 만들어보기
 

요약: 기업생산관리자 입직 조건 정리

항목내용
기본 학력 대졸 이상 (전문대도 가능하나 경쟁력 낮음)
전공 산업공학, 기계·전기공학, 경영학 등 유리
자격증 CPIM, ERP정보관리사, 품질기사 등 우대
필요 역량 계획·분석·소통·문제해결·시스템 활용 능력
경험 우대 인턴, ERP 사용, 보고서 작성 경험 등
 

마무리하며

기업생산관리자는 '하루하루의 제조 흐름'을 책임지는 현장의 지휘자입니다.
단순히 공장 일을 관리하는 직무가 아니라, 회사의 원가 구조와 납기 일정, 품질 수준까지 영향을 미치는 핵심 전략직이기도 합니다.

준비는 어렵지 않습니다. 관련 분야의 기초지식 + 실무 감각 + 꾸준한 관심이 있다면 누구든 도전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