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신설비기능사 자격증 취업처와 활용도 총정리

Worker1 2025. 6. 20.
반응형

통신설비기능사는 정보통신 관련 장비의 설치, 유지보수, 배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전기·통신·방송 설비 분야로 취업을 희망하는 이들이 기초 실무 능력 검증용으로 취득하며, 실무에 강한 자격으로 평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신설비기능사 취득 후 어디에 취업할 수 있는지, 어떤 일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연봉 수준, 진로 확장 가능성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통신설비기능사 주요 취업처

통신설비기능사는 취업 폭이 넓지는 않지만, 특정 현장 직무나 통신 유지보수 분야에서는 자격 보유가 필수이거나 우대 조건으로 작용합니다.

1. 통신공사 및 네트워크 설치업체

  • 유선통신망, 인터넷 배선, CCTV 설치, 통신실 구축 등의 실무 수행
  • 소규모 전기·통신설비 업체에서 가장 많이 채용

작업 현장에서 자격자 1인 등록 요건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도시형 아파트, 빌딩 통신 배선 공사에 다수 참여


2. 통신기기 유지보수 회사

  • 전화교환기, 방송장비, 중계기, 방화벽 장비 등 설치 후 유지관리 업무 수행
  • 통신 네트워크센터, IDC, 관공서 납품 업체 등

수리, 점검, 배선 재정비 등 간단한 하드웨어 유지관리 업무 중심


3. 대형 통신사 협력업체

  • KT, LG U+, SK브로드밴드 등 통신 3사의 설치 협력업체에서 활동
  • 주 업무: 인터넷 개통, 전화 회선 연결, IPTV 셋탑 설치, 광케이블 접속

민간인 대상 고객 응대가 포함되므로 기술력 + 고객 대응 능력 요구
현장 중심이며, 외주 또는 프리랜서 형태 고용이 많음


4. 공공기관 및 공사 현장 통신 담당

  • 공공청사, 군부대, 지자체, 교육기관 등의 건물 내 통신 설비 유지보수
  • 계약직 또는 위탁 유지보수 형태 채용이 일반적

정보통신기술사나 전기기사와 함께 근무하며 기초 작업 보조 및 점검 담당


연봉 수준과 근무 형태

분야신입 초봉경력 3년 이상특징
통신설비업체 2,400만 ~ 2,800만 원 3,200만 원 이상 중소기업 중심
통신사 협력업체 월 200만 ~ 280만 원 월 300만 원 이상 외주·프리랜서 많음
공공기관 계약직 2,500만 ~ 3,000만 원 계약 갱신 시 인상 업무 안정성 있음
시설 유지관리 2,600만 ~ 3,200만 원 3,500만 원 이상 CCTV·통신 유지보수 포함
 

연봉은 경력보다는 작업 난이도와 실적에 따라 탄력적 구조
일부 업체는 **건당 수당제(예: 설치 1건당 3~5만 원)**로 운영하기도 함


통신설비기능사 활용도 요약

활용 분야적용 예
자격 요건 충족 정보통신공사업, 통신공사 현장에서 자격자 등록 필요
구직 시 우대 통신사 협력업체 채용 시 자격증 필수 또는 가산점
업무 효율 향상 회로 해석, 측정기 사용, 배선 정리가 가능해 실무 즉시 투입
커리어 확장 기반 전기기능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기능사로 연계 가능
 

어떤 자격증과 함께 준비하면 좋을까?

자격 조합추천 이유
전기기능사 + 통신설비기능사 현장 전기·통신 통합 시공 가능, 다수 기업에서 이중 우대
정보통신산업기사 상위 자격 도전 시 필수, 실무경력 1~2년 후 진입 가능
CCTV설치 전문가 과정 소형 건물 시공 및 감시 시스템 설치에 바로 투입 가능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설비 도면 해석에 강점, 통신배관 설계 연계 가능
 

요약: 통신설비기능사는 실무형 입문 자격으로 취업 활용 가능

  • 정보통신, 통신설비, CCTV, 인터넷 설치 등 현장직 위주 취업 가능
  • 주로 중소 통신공사 업체, 통신사 협력사, 공공기관 유지보수 부서
  • 연봉은 현장 실적, 고용 형태(정규직/외주)에 따라 다양
  • 자격자 등록 의무 현장에서는 실질적 필수 요건으로 작용
  • 상위 자격증으로 산업기사, 전기·통신 기술사 진입도 가능
반응형